본문 바로가기

IT/백업

백업의 구조와 원리

728x90

백업 구조:
1.원본 데이터(Original Data): 백업은 보통 어떤 형태의 데이터를 저장하는 것이므로, 이는 주로 원본 데이터라 불립니다.

2.백업 매체(Backup Media): 원본 데이터는 일반적으로 다른 매체에 복제됩니다. 이 매체는 주로 외부 하드 드라이브, 클라우드 서버, 테이프 드라이브 등이 될 수 있습니다.

3.백업 파일(Backup Files): 원본 데이터를 복제하여 생성된 파일 또는 세트. 이는 일반적으로 압축되거나 암호화될 수 있습니다.

4.주기적인 스케줄(Scheduled Backup): 자동 백업이 주기적으로 실행되도록 스케줄이 설정됩니다. 주기는 매일, 매주, 또는 매월 등으로 설정될 수 있습니다.

5.로그 파일(Log Files): 백업 실행 및 완료에 대한 로그가 기록됩니다. 이것은 나중에 문제 해결이나 복구를 위해 유용할 수 있습니다.

백업 원리:
1.정기적인 주기: 백업은 정기적으로 수행되어야 합니다. 이는 시스템이나 데이터가 손상되기 전에 안정적인 상태로 복원할 수 있도록 합니다.

2.완전성 유지: 백업은 데이터의 완전성을 보장해야 합니다. 복구 시 원본 데이터와 차이가 없어야 합니다.

3.복구 가능성: 백업은 언제든지 복구 가능해야 합니다. 데이터 손실이 발생했을 때 신속하게 복구할 수 있어야 합니다.

4.보안: 백업 데이터는 안전한 장소에 저장되어야 하며, 데이터가 유출되지 않도록 보안이 유지되어야 합니다.

5.다중 백업 지원: 중요한 데이터에 대해 여러 백업이 수행되면 안전성이 향상됩니다. 여러 장소에 백업을 저장하는 것도 중요합니다.

6.자동화: 백업 프로세스는 자동으로 실행되어야 합니다. 이는 실수나 인간 에러를 방지하고 일관된 백업 주기를 유지하는 데 도움이 됩니다.

이러한 구조와 원리를 따르면 데이터를 효과적으로 보호하고 복구할 수 있는 안전한 백업 체계를 구축할 수 있습니다.

'IT > 백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스토리지 기본개념 #1  (1) 2023.11.17
스토리지 란?  (1) 2023.11.17
백업의 기초  (2) 2023.11.16
백업브랜드별 장단점  (1) 2023.11.13
백업 솔루션 정보  (0) 2023.11.13